• 영양사교육과정 평가・인증
  • 영양교사 임용고시 합격
  • Brain Busan21 plus(BB21+, 학부-대학원생 장학금지원사업) 선정
취업&진로묻고답하기

묻고답하기


산업체, 학교, 병원, 보건소 영양사의 역할과 업무는 무엇인가요?

식품영양학과 2022-01-30 17:34 1,708

  1. 1. 산업체 영양사의 역할과 업무는 무엇인가요?

산업체 급식소에서 영양사는 기존 급식 관리자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평균연령 증가와 만성질환 예방 대책으로 직장단위 건강관리교육이 활성화되면서 근로자에 대한 식생활지도와 상담을 담당하는 영양교육자로서 역할이 강화될 것입니다.

 

① 급식관리 : 급식운영 계획 수립, 식단작성, 식품재교의 선정과 검수 및 관리, 구매관리, 재고관리, 조리와 검식 및 배식관리, 위생 및 안전관리, 원가관리, 작업관리, 인사관리, 급식시설 및 설비관리, 사무관리, 급식평가, 급식종사자 교육

② 피급식자의 영양교육 및 상담

③ 직업병 및 성인병 예방을 위한 연구 조사

④ 품질관리 활동

 

  1. 2.학교 영양사의 역할과 업무는 무엇인가요?

여성들의 사회참여가 가속화되면서 학교급식의 요구도가 커지고 이에 따라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학교급식이 확대 실시되면서 영양교사의 수요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2006년부터 시행되는 영양교사제도 도입과 더불어 영양교사는 식사제공과 더불어 편식교정, 올바른 식습관 형성, 식사예절 등을 가르치는 교육자로서의 역할과 건강 및 영양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강화될 것이며, 영양식품, 건강교육 등의 관련 자료를 연구·개발하고, 어머니교실, 학교급식위원회 등 학부형과의 밀접한 관계를 통해 가정과 지역사회 식생활개선의 지도자로서의 역할도 하게 될 것입니다. 2000년에는 교육부의 지원 아래 고등학교의 전면급식이 실시(96.1%)되었고, 2002년까지 중학교의 전면급식이 실시되어 영양교사 수요가 늘어날 전망입니다.

 

① 급식관리 : 급식운영 계획 수립, 식단작성, 식품재교의 선정과 검수 및 관리, 구매관리, 재고관리, 조리와 검식 및 배식관리, 위생 및 안전관리, 원가관리, 작업관리, 인사관리, 급식시설 및 설비관리, 사무관리, 급식평가, 급식종사자 교육

② 영양 및 식생활 개선에 관한 학생지도와 학부모 상담 및 교육

③ 효율적인 학교급식을 실행하기 위한 교직원 교육

④ 교육자료 개발, 연구 및 업무 능률 향상 활동

 

  1. 3.병원 영양사의 역할과 업무는 무엇인가요?

생활환경의 변화와 노령인구의 증가로 만성퇴행성질환이 증가되면서 국민생활의 질적 저하와 국민의료비의 급증을 초래함에 따라 만성퇴행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부분인 영양부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그에 따라 임상영양에 관한 고도의 전문적 지식을 갖춘 임상영양사가 개인이나 집단의 건강유지를 위해 영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양사로 관련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하게 될 것입니다. 국민의 건강에 대한 관심증가로 건강진단센터, 헬스센터, 체중조절센터 등이 늘어나면서 영양교육 및 상담자로서의 영양사가 늘어날 전망이며, 노인인구의 증가와 노인복지정책의 확대로 양로원과 노인복지시설이 늘어나고, 만성질환의 증가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인구가 점차 증대되어 병원대신에 이들을 보살피고 관리해 주는 요양원이 증가하면서 이들 시설에서 식사제공 및 영양상담자로서의 영양사의 배치가 증가할 것입니다.

 

① 급식관리 : 급식운영 계획 수립, 식단작성, 식품재교의 선정과 검수 및 관리, 구매관리, 재고관리, 조리와 검식 및 배식관리, 위생 및 안전관리, 원가관리, 작업관리, 인사관리, 급식시설 및 설비관리, 사무관리, 급식평가, 급식종사자 교육

② 임상영양관리 : 영양판정, 영양상담 및 교육, 식사섭취 조사, 의무기록, 식사회진, 영양교육자료 개발

  1. 4.보건소 영양사의 역할과 업무는 무엇인가요?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비만이나 당뇨, 심뇌혈관계질환과 같은 만성퇴행성질환 등의 식이성 질환이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우리나라도 국민건강증진법과 지역보건법이 제정되는 등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의 영양개선사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1997년 2월 14일 지역보건법 시행규칙이 공포됨에 따라 전국 모든 보건소 및 보건지소와 관련 보건기관에 영양사가 배치되어 영양사업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습니다. 225개 전국 보건소 및 17개 보건의료원에 영양사 배치가 확대되고 있으며, 도시형 보거지소 신설에 따른 영양사 배치가 증가할 것입니다.

 

① 영양지도의 기획, 분석, 평가 및 영양상담

② 지역주민의 영양지도 및 상담

③ 영양조사 및 지역주민의 영양평가 실시

④ 영양교육 자료의 개발, 홍보 및 영양교육

⑤ 집단급식시설에 대한 현황파악 및 급식업무지도